developer tip

clipsToBounds는 어떻게 작동합니까?

copycodes 2020. 8. 21. 07:56
반응형

clipsToBounds는 어떻게 작동합니까?


UIView속성 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clipsToBounds.

공식 문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.

clipsToBounds 특성

하위 뷰가 뷰의 경계로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부울 값입니다.

토론
이 값을로 설정 YES하면 하위보기가 수신자의 경계에 잘 리게됩니다. 로 설정하면 NO프레임이 수신기의 가시적 경계를 넘어 확장되는 하위 뷰가 잘리지 않습니다. 기본값은 NO입니다.

그러나 이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. 어떻게 사용해야 clipsToBounds합니까? 이 속성을 YES정확히 설정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 합니까? 아니면 NO?


내 수퍼 뷰가 각면에 10 단위를 측정하는 상자이고 내 서브 뷰가으로 clipsToBounds설정되어 폭이 20 단위 YES인 경우 수퍼 뷰의 경계 내에 맞는 부분 만 표시됩니다. 그렇지 않으면 가로 clipsToBounds설정되어 있으면 NO전체 하위보기, 심지어 수퍼 뷰 외부의 부분까지 볼 수 있습니다 (아직 화면에 있다고 가정).

시각적 예로서 스토리 보드에 설정된 다음보기를 고려하십시오.

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

이것은 흰색 UIView, 왼쪽 상단 모서리에 간단한 "1"또는 "2"가있는 레이블이므로 view1또는 로 논의 할 수 있습니다 view2. 또한 검은 색보기는 흰색보기와 크기가 같지만 원점은 흰색보기의 중앙에 있습니다.

뷰 컨트롤러의 viewDidLoad메서드에는 다음 코드가 있습니다.

목표 -C :

- (void)viewDidLoad {
    [super viewDidLoad];
    self.view1.clipsToBounds = YES;
    self.view2.clipsToBounds = NO;
}

빠른:

override func viewDidLoad() {
    super.viewDidLoad()
    self.view1.clipsToBounds = true
    self.view2.clipsToBounds = false
}

코드를 실행하고 시뮬레이터 나 장치를 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납니다.

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

따라서 이러한보기가 동일하게 설정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(제외 clipsToBounds) 다르게 보입니다. 이것이하는 일 clipsToBounds입니다. 로 설정 YES하면 상위 결과가 제공되고로 설정 NO하면 하위 결과 제공됩니다.

뷰 계층 구조를 디버깅하면 블랙 박스가 실제로 흰색 뷰의 경계선을 넘어서 확장된다는 것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지만, 앱이 실제로 실행 중일 때 뷰 2 만이를 보여줍니다.

여기에 이미지 설명 입력


Shadow Swift 4가있는 uiview 및 textfield

self.txtCurrent.layer.shadowOpacity = 0.5
self.txtCurrent.layer.shadowOffset = CGSize(width: 1.0, height: 1.0)          
self.txtCurrent.layer.shadowRadius = 5.0
self.txtCurrent.layer.shadowColor = UIColor.black.cgColor
self.txtCurrent.layer.masksToBounds = false

그림자가있는 uiview

self.yourview.layer.shadowOpacity = 0.5
self.yourview.layer.shadowOffset = CGSize(width: 1.0, height: 1.0)
self.yourview.layer.shadowRadius = 5.0
self.yourview.layer.shadowColor = UIColor.black.cgColor
self.yourview.layer.masksToBounds = false

참고 URL :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20449256/how-does-clipstobounds-work

반응형